빙에게 물어봤어요
마블의 영화 인베이젼의 인트로 영상에 AI생성기가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어떤 프로그램을 사용했나요?
네, 들었습니다. 마블의 새로운 드라마 시리즈 '시크릿 인베이젼’의 오프닝 크레딧이 인공지능 (AI)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123. 감독 알리 셀림은 메소드스튜디오라는 회사의 AI가 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AI는 작품의 주제와 의도에 맞게 인물들을 수채화처럼 표현하고 변형시키는 효과를 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소식에는 온라인에서 반발이 많았습니다. 시리즈에 참여한 아티스트들과 작가들은 AI 사용이 비윤리적이고 위험하며 자신들의 경력을 해치는 것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한 미국 커뮤니티 사이트 레딧에서도 AI 사용에 대해 실망과 불만의 의견이 많았습니다.
어떤 AI 도구를 사용했는지는 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감독은 AI가 어떻게 작동하는지 잘 이해하지 못했다고 말했습니다. 생성 AI 모델을 활용한 것으로 보이기는 하지만, 구체적인 이름이나 세부사항은 공개되지 않았습니다.
메소드스튜디오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또한 그들의 대표작과 레퍼런스를 볼 수 있다면 정보를 공유해주세요
메소드스튜디오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본사를 둔 시각 효과 회사입니다. 1998년에 설립되었으며, 밴쿠버, 뉴욕, 시카고, 디트로이트, 애틀랜타, 런던, 시드니, 멜버른에 지사를 두고 있습니다. 주로 영화나 광고의 시각 효과를 제작하며, 메인 타이틀 디자인도 합니다.
메소드스튜디오의 대표작으로는 《맨 인 블랙 3》, 《어벤져스》, 《퍼스트 어벤져》 등의 메인 타이틀 작업과 《더 울프 오브 월스트리트》, 《아이언맨 3》, 《트랜스포머: 사라진 시대》,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등의 시각 효과 작업이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마블의 새로운 드라마 시리즈 '시크릿 인베이젼’의 오프닝 크레딧을 AI로 제작했다고 합니다.
메소드스튜디오의 공식 웹사이트에서는 그들의 작업물을 볼 수 있습니다.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Method Studios
www.methodstudios.com
개인적으로 확인해봤을때는 여러가지 툴들을 사용하지 않았나 생각되는데요.
첫번째로 요즘 쇼츠로도 많이 보이는 애니메이션되면서 이미지가 변하는 이런식의 영상을 만들어주는 카이버같은 AI툴을 사용하지 않았나 생각됩니다.
Kaiber
kaiber.ai
두번째는 레이아픽스 AI같이 2D를 3D처럼 만들어 보여주는 AI툴을 사용한것 같습니다.
LeiaPix Converter | Depth Animations
convert.leiapix.com
그외에도 다양한 툴들을 활용해서 만들었겠지만
저도 이런툴들을 사용하면서 느낀건 자기가 원하는데로 쉽게 되지 않더라였습니다.
그리고 마블측의 인트로가 완성도가 좋은 이유는 기본적인 아트웍의 베이스 퀄리티가 좋아서가 아닐까 생각합니다.